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폐암학회 웹진
Vol.39 July 2025

대한폐암학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한폐암학회 지난 호 웹진 보기

메뉴 닫기

대한폐암학회 산하 연구회 소식

표적치료연구회

1 2025년 표적치료연구회 리더심포지엄
  • 일시: 2025년 5월 10일(토)
  • 장소: 대전 씨젠의료재단 대전충청검사센터 6층 대회의실
Program
12:30~ 등록
13:20-13:25 축사 장윤수(표적치료연구회 회장)
13:25-13:30 개회사 장승훈(LEADER 단장)
13:30-14:45 CT를 이용한 lung cancer screening 좌장:김영철(화순전남의대)
13:30-13:55 highrisk의 individual과
비흡연자에서의 폐암검진 전략
박영식(서울의대)
13:55-14:20 Update of lung cancer dectection abroad 최주환(고려의대)
14:20-14:45 AI를 활용한 radiologic lung cancer screening 이은혜(연세의대)
14:45-15:10 Coffee break
15:10-16:15 Liquid biopsy를 이용한 폐암 검진 좌장:엄상원(성균관의대)
15:10-15:35 Update of Grail's galleri and
Gardent's Shield; MCED
안준홍(영남의대)
15:35-16:00 Secondary screening of lung cancer
using liquid biopsy
김인애(건국의대)
16:00-16:15 Pannel discussion
(Radiolgic vs liquid biopsy test)
최주환(고려의대), 이은혜(연세의대),
안준홍(영남의대), 김인애(건국의대)
16:15-17:05 Tobacco Industry and Lung Cancer
– Leg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좌장:이상학(가톨릭의대)
16:15-16:40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and
lung cancer
김유일(전남의대)
16:40-17:05 Legal Accountability of Tobacco Companies
in Lung Cancer-Related Lawsuits
최갑인(국민건강보험공단)
17:05~ 폐회사
2 2025년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워크샵
  • 일시: 2025년 8월 22(금)- 23(토)
  • 장소: 대전DCC 1전시장 101호
1일차: 2025년 08월 22일(금)
15:00 ~ 15:10 개회사 장윤수 (표적치료연구회 회장)
Session 1. 선배 의사에게 듣는 생생한 이야기
15:10 ~ 15:40 폐암 치료의 현재와 미래 양세훈 (원광의대)
15:40 ~ 16:10 기초 연구자들과 협업하기 정재욱 (충남의대)
16:10 ~ 16:40 나의 해외 연수기 박철규 (전남의대)
16:40 ~ 17:00 coffee break
Session 2. 연구비 수주 노하우
17:00 ~ 17:30 IIT제안 및 제약회사 연구비 수주 노하우 이승룡 (고려의대)
17:30 ~17:50 제약회사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소개 이세영 (유한양행)
17:50 ~ 18:20 연구재단 연구비 수주 노하우 엄상원 (성균관의대)
18:20~ 저녁식사
2일차: 2025년 8월 23일(토) : Big data analysis & machine learning for lung cancer study
09:00 ~ 09:30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본 통계 강단비 (성균관의대)
09:30 ~ 10:20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본 통계
- 실습
강단비 (성균관의대)
10:20 ~ 10:40 coffee break
10:40 ~ 11:10 공공 암오믹스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노하우 성지용 (서울의대)
11:10 ~ 12:00 공공 암오믹스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 실습
성지용 (서울의대)
12:00 ~ 13:00 Lunch (도시락)
13:00 ~13:30 Nature에 논문 publish하기 연동건 (경희의대)
13:30 ~ 14:00 Big data & 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연구 노하우 연동건 (경희의대)
14:00 ~14:50 Big data & 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연구
- 실습 1
조혜수 & 이경민 & 박서영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14:50 ~ 15:10 coffee break
15:10 ~ 16:00 Big data & 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연구
- 실습 2
조혜수 & 이경민 & 박서영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16:00 ~16:20 표적치료연구회 멘토-멘티 프로그램 소개 이정은 (충남의대)
16: 20 ~ 16:30 폐회사 장윤수 (표적치료연구회 회장)
3 2025년 표적치료연구회 추계학술대회
  • 일시: 2025년 9월 20일(토)
  • 장소: 서울성모병원
4 2024년도 표적치료연구회 학술연구비 공동과제 2차년도 심사
5 집행부 학술위원 변경 안내
변경 전 변경 후
계명의대 박순효 성균관의대 엄상원

종양면역다학제연구회

1 2025년 종양면역다학제연구회 춘계심포지엄 참관기 - 이지원(고대안암병원 종양내과)
이지원 고대안암병원 종양내과

2025년 폐암학회 종양면역다학제연구회 춘계심포지엄이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지난해 (2024년) 추계학술대회에 처음 참석한 이후로 대한폐암학회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매우 만족해서 대한폐암학회에서 진행하는 각종 행사에는 꼭 자주 참석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의정 갈등과 과중한 업무에 치이며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점차 동기 부여를 잃고, 저 역시 나태해지고 수동적으로 변해가는 제 모습을 보며 스스로에게도 답답함을 느낍니다. 이럴 때마다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타 기관 의료진 선생님들께 배우고 교류하는 과정에서 다시금 열정을 회복하곤 합니다. 오늘도 그런 자리가 되길 바라면서 오전 외래를 일찍 끝내고 학회장으로 향하였습니다. 삼각지역에서 택시를 타고 이동하던 중, 한층 따뜻해진 날씨에 봄이 성큼 다가왔음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학회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첫 세션에서는 폐의 생리와 면역학적인 기전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면역항암제와 관련된 부작용 및 actionable mutation에 따른 가이드라인 내용을 빠른 시간 내에 정리해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는 AI와 빅데이터의 시대에 걸맞게 관련 분야의 전문가분들께서 원내에서 LLM을 활용할 방법과 윤리적인 이슈들을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첫 번째 세션은 성균관의대 이보람 선생님의 강의로 시작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폐를 구성하는 세포들을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해 주셨고, 과거 해부학이나 조직학 수업에서 접했던 내용들이 떠올라 잊고 지냈던 기억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이어서 폐를 구성하는 세포와 면역체계가 노화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셨습니다. 두 번째 세션은 KIST의 박윤 교수님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교수님은 T 세포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해 주셨으며, 특히 anergy, exhaustion, senescence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주신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암종에 따라 T 세포의 분화 단계에서 나타나는 exhaustion의 차이가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설명해 주셨는데, 이 부분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더불어, PD-1 기전이 LAG-3와는 시너지를 보이는 반면 TIGIT과는 현재까지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근거 기반의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TIGIT 병용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들이 여전히 진행 중인 만큼, 앞으로의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cancer vaccine에 대한 내용도 다뤄주셨는데, 현재 제가 박사과정에서 암백신 관련 마우스 모델을 연구하고 있어 개인적으로 더욱 흥미롭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세션이 더 많이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세 번째 세션은 넥스아이의 윤경완 대표님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대표님은 암에서 유래한 일종의 사이토카인인 'oncokine'이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대해 소개해 주셨습니다. 기존의 치료 접근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해 주셔서 매우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두 번째 세션의 첫 강의는 중앙의대 박송이 선생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면역관문억제제(ICI, immune checkpoint inhibitor) 관련 이상반응에 대해 강의해 주셨습니다. 익숙하고 자주 접하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혼동되기 쉬운 부분들을 명확히 짚어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였습니다. 가이드라인 정리에 이어, AI를 활용한 독성 예측 모델에 대해서도 소개해 주셨습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접목한 부작용 예측 연구가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인상 깊은 내용이었습니다. 이어서 가천의대 조장호 선생님께서 actionable mutation을 보유한 환자에서 ICI의 활용에 대해 강의해 주셨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는 면역항암제(IO)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향이 있으나, 그나마 KRAS나 BRAF 변이의 경우에는 예외적인 반응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언급해 주셨습니다. 마침 최근 Sunray 연구에 KRAS 변이 환자 한 분을 등록한 상황이라, 해당 환자에서 좋은 반응을 기대해봅니다. 마지막으로 성균관의대 이윤규 교수님께서 actionable mutation이 없는 환자에서의 ICI 활용에 대해 강의해 주셨습니다. 기존 가이드라인의 변화 과정을 주요 근거 논문들과 함께 정리해 주셔서 매우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최근 Datopotamab deruxtecan의 임상 결과와 함께, Tumor Treating Fields(TTFs)에 대해서도 언급해 주셨습니다. TTF는 일종의 고주파를 활용한 치료라는 설명이 흥미로웠습니다. 일반 요양병원에서 시행하는 40~60분 정도의 고주파 치료와는 달리, 폐암에서는 하루 18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전기장 기반 치료로, 전혀 다른 개념의 치료 방식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다만, TTF의 폐암 임상시험인 EF-44 / LUNAR-2가 현재 한국에서는 진행되지 않는다는 회신을 받은 바 있어, 아쉬움이 남습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의료 활용을 주제로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첫 번째 강의는 아주대학교 박래웅 교수님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최근 유전체, 임상정보, 병리 데이터를 통합하는 멀티오믹스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 국가 연구 과제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플랫폼 개발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공유 체계 구축, 자유서술형(free-text)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특히, 병원 내에서의 제한된 환경 속에서도 오픈소스 LLM을 로컬에 설치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소개해 주셔서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K-CURE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과정과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발표를 통해 암 공공 라이브러리, 암 임상 라이브러리, 국가암데이터센터가 보유한 정보의 성격과 목적의 차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실제 처방 정보가 포함된 암 임상 라이브러리의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더 임상적 가치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IRB, DRB 등의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제 연구 현장에서는 다소 행정적 부담이 따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울산의대 박성호 교수님께서는 최근 다양한 저널에서 AI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중심으로 발표해 주셨습니다. 앞선 발표와 일부 내용이 겹치기는 했지만, 병원 내에서 LL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과 함께, AI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제도적·기술적 요소에 대해서도 소개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폐암학회는 2023년도 Young Member Workshop을 시작으로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James Yang 선생님께서 본인이 걸어오신 연구자이자 리더로서의 여정을 공유해 주시며, 리더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와 경험에 대해 들려주신 점이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후 2024년 추계 학회에도 참석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되고 의미 있는 학회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도 Q&A 때 이세훈 교수님의 촌철살인 같은 날카로운 질문과 안명주 교수님의 정확한 마무리 코멘트가 후배 입장에서는 교육적이었습니다. 저 역시 앞으로 더욱 정진하여 이러한 학회에서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자로 성장하고 싶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5년 표적치료연구회 춘계학술대회 참관기 1 2025년 표적치료연구회 춘계학술대회 참관기 2
2 2025년 종양면역다학제연구회 추계심포지엄
  • 일시: 2025년 9월 26일(금)
  • 장소: 호텔나루 엠갤러리

TOP